본문 바로가기
│PC (컴퓨터 IT)

기어VR 사용후기

by suhani 2015. 3. 20.

지난 14일 기어VR을 받아보고 대략 7일간의 사용 후기를 적어 보려고 합니다.



게임은 그닥 흥미를 느끼지 못해 영화 감상등의 목적으로 사용했으며, 해당 사용기 위주가 될 것 같습니다.

 

아직 국내 Store에서는 게임 등 의 콘텐츠 부족으로 많이 해보진 못했던 이유도 있습니다.

 

처음 제품 구매시 제공되는 Micro SD 카드는 용량이 16G여서 128G 구매 후 데이터를 모조리 옮겨 사용하였습니다.

 

128G Micro SD카드를 노트4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exFAT 방식으로 포맷을 해야하는데요, 

제가 구매한 삼성 MicroSD 128G는 기본적으로 exFAT방식으로 포맷되어 있었습니다.

 

기어VR에서 영화를 볼수 있는 방법은 오큘러스 시네마, VR갤러리에서 2D 및 3D 영상을 볼수 있습니다.


헤드 트래킹 영상 (180,360도) 영상은 밀크VR, 360동영상에서 볼수 있습니다. 

 

밀크VR은 아직 국내에서는 정식으로 다운받을 수 없기에 VPN을 통해 미국으로 접속 후 설치하시면 되요.

  

오큘러스 시네마로 영화 볼때가 가장 몰입이 잘되었던 같습니다.


다만, 영상에 자막이 함께 있지 않으면 오큘러스 시네마에서 볼 수 없고 VR 갤러리를 통해 봐야 했습니다.

(VR 갤러리로 보는 영상은 오큘러스 시네마 Void 모드와 같이 화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검게 나옴)

참고로 동영상에 자막을 Muxing한 영상도 오큘러스 시네마에서는 보이지 않았습니다.

 

오큘러스 시네마에서도 환경은 홈, 극장, 달, Void 모드로 선택 할 후 있는데요, 

극장 모드에서 봐야 내가 극장에 있구나 하는 느낌이 들어요..

 

혹시라도 누워서 보거다 자리를 옮기며 보고 싶을때에는 Void 모드를 선택하면 화면의 방향 조정이 가능합니다.

 

3D 영화는 약간의 제약이 있습니다.

 

3D 영화를 보기위해서는 영화 제목과 동일한 TXT 파일 생성 후 3D 영화 종류(side by side, Top to bottom)를 

설정해야하며 '3D'라는 폴더 생성 후 그안에 영상이 있어야 합니다.


예) 영화이름  1.mp4 일때1.txt 파일 생성 후 아래 내용기재 후 저장  


{

"format": "3D"

}


영화 종류에 따라 붉은색 부분을 아래와 같이 수정

 

3D : 좌우 영상

3DLR : 좌우영상

3DTB : 상하영상


혹시라도 영상이 꽉차 보이지 않을 경우 3DLRF, 3DTBF 로 변경 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일반 2D 영화와 동일하게 영상자체에 자막이 인코딩되어 있지 않으면 오큘러스 시네마에서 볼 수 없고

VR 갤러리를 통해 볼 수 있었습니다.  (자막은 SRT 형식이었습니다.)

 

더불어 오큘러스 시네마에서는 환경설정을 통해 좌우, 상하 3D 영상을 볼 수 있지만, 

VR 갤러리에서는 좌우 3D 영상만 볼수 있어요. 

 

가장 속편한 방법은 더빙되어 있는 3D 애니와, 국내영화는 오큘러스 시네마로, 

기어VR에서는 자막있는 좌우 3D 영화 및 외국영화를 보는게 좋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 및 팁은 아래 사이트 방문하시면 상세한 방법이 있으니 참고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http://www.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lecture&wr_id=261529


끝으로 사용해보면서 느낀 단점!!

 

1. 아무리 띄어난 입체영상과, 360,180도 비디오라 하더라도 머리에 쓰고 보는 것은 거부감이 있었습니다.

    통증 같은건 없었으나 눈부분을 무언가가 누르고 있으니 좀 불편하더군요..


2. 또한, 구형 컬러 TV를 보는것 같은 화면 해상도... 많은 분들이 지적했듯이 노트4 액정을 

    돋보기를 들여다 보는 것이니 폰자체의 화질이 아주 띄어나지 않은한 어쩔 수 없는것 같습니다. 


3. 발열경고.. 2시간 넘는 트랜스포머 사라진시대를 3D 영화로 시청했는데요. 발열경고 2회, 분리경고1회 나타나

   영화 중반에 노트4 분리 후 식혔다가 다시 감상하였습니다.

   발열경고는 걍 무시하고 볼 수 있으나 분리하라는 메시지는 무시되지가 않더군요. 

 

4. 기어VR 본체 렌즈의 먼지...  저같은 경우는 제품에 포함되어 있는 클리닝 융으로 시청할때마다 닦고 봅니다.

   그렇지 않으면 무엇인지 모를 먼지가 화면에서 걸리적 거려요..

    (참로고 온도차에 의한 김거림이 발생할 수 있는데요, 기어VR 본체를 따뜻한 곳에 보관해두면 발생하지 않아요)

 

5. 혹시라도 머리가 왁스 등으로 손질되어 있다면,,, 잠시 사용을 자제해 주세요.. 그렇지 않으면 흉측해져요 ㅋ

 

6. 컨텐츠 부족... 국내에서는 컨텐츠가 한정적이어서 VPN을 통해 해외로 접속 후 다운받아야 합니다.

 

이렇게 보니 단점만 보이는것 같은데요, 저의 경우는 저런한 단점은 큰게 아니었습니다.

 

뛰어난 몰입감과 마치 내가 그자리에 있는것 같이 느끼게 해주는 현실감은 정말 만족스러웠기 때문입니다.

 

저와 같이 저런 불편을 모두 감수하고 이용하실 수 있는 분들이라면 구매 추천해 드립니다.


=============================================================================================

15.12.23 추가 내용 


MilkVR 업데이트 후 기능의 변화가 있었는데요,  이번에는 많이들 사용하는 두가지 팁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1. SD카드에 MilkVR 파일 옮기기

2. 360 혹은 180 동영상 재생설정하기 

 

1. SD카드에서 MilkVR 파일 옮기기 

  - 이 내용은 이미 많은 분들이 알고 있는 방법일 텐데요. 

    MilkVR용 파일이 용량이 크기 때문에 휴대폰내에 메모리를 사용할 경우 용량이 부족하게 됩니다.

    그래서 외장SD 카드에 MilkVR 파일을 옮기길 원하는데요.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외장SD카드에 'MilkVR' 폴더 생성 후 해당 폴더로 파일을 모두 옮겨주면 됩니다.


2. 360 혹은 180 동영상 재생설정하기 

  - 파일을 모두 MilkVR 폴더로 옮겼다면 재생가능하 파일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화면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에는 파일명만 고쳐주면 되는데요.. 

    파일 이름 마지막에 아래와 같은 내용만 붙여 주시면 됩니다. 


비디오 유형파일 이름에 추가
2D 비디오"_2dp"
3D 위에서 아래 비디오"_3dpv"
측면 비디오로 3D면"_3dph"
모노 스코픽 (180)"180x180"
모노 스코픽 (180) 16 : 9"180x101"
위에서 아래 입체 (360)"3DV"또는 "_tb"
왼쪽에서 오른쪽 입체 (360)"3DH"또는 "_lr"
위에서 아래 입체 3D (180)"180x180_3dv"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입체 3D (180)"180x180_3dh"
위에서 아래 입체 3D 180x160"180x160_3dv"
두 모노 스코픽 180 반구"180hemispheres"
결핵 3D 실린더 2.25 : 1"cylinder_slice_2x25_3dv"
결핵 3D 실린더 16 : 9"cylinder_slice_16x9_3dv"
결핵 3D 360없이 바닥"sib3d"
180 천문관 전체 돔"_planetarium"또는 "_fulldome"
V360 카메라"_v360"

 

예를 들어 MilkVR에서 재생하려는 파일이 좌우 영상으로 나위어진 3D 파일이라면  

 

  3D.mp4  >>>  3D_3dph.mp4와 같이 기존 파일명 뒤에 "_3dph"만 추가해 주시면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MilkVR 포럼에서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https://milkvr.com/#/content/faq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